반응형
윈도우10에서는 원드라이브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맥 OS에서는 원드라이브를 별도로 설치해 줘야 합니다.
설치 후에는, 주로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하던 OneDrive 파일을 Mac OS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도 최근에 맥북을 구입해서 macOS 환경을 배워나가며, 윈도우와 Mac OS 환경을 비교하는 재미가 있네요.
설치하는 방법
- App Store 실행
- 한글로 ‘원드라이브’ 또는 영어로 ‘OneDrive’ 검색
- 구름모양 눌러서 다운로드 > 열기 (엑셀, 워드 등을 포함한 번들인 Microsoft 365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시간이 많이 걸림)
- 'OneDrive 설정'이 뜨면 계정을 입력 ('계정 만들기'로 새로운 계정을 하나 만들면 5Gb의 공간을 쓸 수 있습니다. 저는 1TB 용량 - Office 365 권한이 있는 핫메일 계정을 사용 중입니다.)
- 로그인은 계정의 암호를 넣어도 되고, 저는 보안 강화와 편리성을 위해 Microsoft Authenticator를 핸드폰에 설치해 사용중입니다(암호 없이, 핸드폰에 뜨는 번호를 입력해서 로그인하는 방식입니다.)
-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존중합니다'라는 창이 뜨면 '다음'을 선택합니다.
- '선택적 데이터를 Microsoft로 보내시겠습니까?'라고 물어봅니다. 저는 '보내지 않음'을 선택했습니다. 찜찜해서... ^^;
- 폴더 위치 선택을 물어봅니다. 저는 맥북에서는 기본 폴더(/Users/사용자명/OneDrive)를 그냥 사용했습니다. (저는 윈도우10의 경우는 C와 D를 분할해서, 원드라이브를 D드라이브에 지정했습니다.)
- 'OneDrive에 대해 알아보기'가 뜨면 다음을 선택
- '파일 및 폴더 공유'가 뜨면 다음을 선택
- '준비된 온디맨드식의 모든 파일'이 뜨면 다음을 선택 (공간 절약을 할지에 대한 옵션 설명입니다)
- '모바일 앱 다운로드'가 뜹니다. 핸드폰/태블릿용 앱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모바일 앱 다운로드'를 눌러 링크를 확인합니다. 저는 이미 다운로드하였으니 '나중에'를 눌러줍니다. 나중에라도 핸드폰에서 직접 받아도 됩니다.
- 'OneDrive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가 뜨면 OneDrive 폴더 열기를 선택합니다. 이때 '내 파일이 자동으로 동기화되도록 로그인 시 열기'를 선택하면 재부팅/로그인 할때 자동으로 로그인이 됩니다. (아래 '로그인할 때 열기'로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설치 후 설정
- 작업창에서 원드라이브 아이콘 선택 > 두손클릭 > 도움말 & 설정(오른쪽 아래 톱니바퀴 모양) > 기본 설정
- 기본 설정 탭 - 일반: 로그인할 때 열기 선택 (나머지는 그냥 두거나 필요에 따라 해제)
- 기본 설정 탭 - 요청 기반 파일 관리: On-Demand라고도 불리는데, 이게 켜져 있는 게 기본이고, 처음 파일을 클릭하면 그때 다운로드한다는 개념입니다. 저장공간이 부족할 때 사용합니다. 만약 저장공간이 넉넉하다면, 이 기능을 꺼도 됩니다. 단, 파일을 동기화하려고 내려받는 시간이 초기에 조금 걸립니다.
- 계정 탭: '폴더 선택'을 눌러 원하는 폴더만을 고를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탭: 그냥 둠
- Office 탭: '내가 여는 Office 파일을 Office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동기화'를 체크 해제. 이래야 동기화 오류가 잘 안나는 것 같습니다.
이제 설정 완료~
추가적으로...
- 메뉴바의 원드라이브 아이콘을 누르고, Finder 확장 켜기를 클릭하면 디스크 공간을 절약합니다. 파일을 처음 클릭하면 다운로드 받는 On-Demand방식인 듯 합니다.
- Macintosh HD/사용자/(사용자계정이름)/OneDrive 폴더를 Finder의 즐겨찾기로 끌어놓으면 바로 들어갈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이상 맥북에서의 원드라이브 설치와 설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