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이나 집에 있는 컴퓨터를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편리하겠죠.
이럴 때 크롬 원격 데스크톱(Chrome Remote Desktop)이 아주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
이전에는 팀뷰어(Teamviewer)라는 프로그램도 쓰곤 했는데,
해킹의 위험이나, 상업적 사용이니 구매하라는 메시지 등의 불편함이 있어
저는 몇 년 전부터 팀뷰어에서 크롬 원격 데스크톱으로 갈아탔습니다.
접속도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아주 마음에 듭니다. ^^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다운로드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노트북에서 원격으로 접속하도록 설정
■ 먼저 다음 사이트에서 크롬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구글계정 등을 설정합니다.
https://www.google.com/chrome/
Chrome 웹브라우저
더욱 스마트해진 Google로 더 심플하고 안전하고 빠르게.
www.google.com
■ 크롬 설정이 끝나면, 크롬을 실행하고 다음 사이트로 들어옵니다.
https://remotedesktop.google.com/
Chrome 원격 데스크톱
Simple 컴퓨터, Android 기기 또는 iOS 기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세요.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필요할 때 모든 컴퓨터와 파일에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remotedesktop.google.com
■ 두개의 컴퓨터가 보이네요.
위의 것(Desktop...)은 원격으로 접속할 컴퓨터이고(켜져 있고, 원격 데스크톱이 설정된 상태입니다),
아래 것(A....)은 지금 문서를 작업하는 제 노트북입니다.
오른쪽 아래에 원격 데스크톱 설치를 물어봅니다. 설치를 클릭합니다.
■ 원격 데스크톱이 설치되면 실행하고, 왼쪽에 있는 내 컴퓨터에 액세스를 클릭한 후 계정 및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비밀번호를 저장하라고 하면 선택합니다.
■ 클릭하면 PIN입력을 하라고 합니다. (6자리) PIN번호를 입력하고 저장 선택 후 화살표를 클릭합니다.
PIN은 컴퓨터의 비밀번호가 아니고, 원격접속할 컴퓨터의 원격 데스크톱에서
위 사진의 화살표에 있는, 작은 열쇠 모양을 클릭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따 또 설명합니다)
이제 이 노트북에서, 원격으로 멀리 있는 데스크탑에 연결됩니다.
2) 이번에는 노트북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 이제는 아래의 원격 액세스 설정에서, 화살표를 선택합니다.
설치 준비 완료가 뜨면 동의 및 설치를 클릭합니다.
■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 이름을 입력합니다. (편하게 아무 이름으로든 정하면 됩니다.)
윈도우11을 시험삼아 설치해본 노트북이라, 저는 win11-test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윈도우11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노트북/컴퓨터에서도 윈도우 11을 설치하시려는 분들은
다음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6세대 CPU(i5-6200U)에서도 윈도우11 사전 설치가 가능했습니다. ^^
https://stumpsol3.tistory.com/entry/지원하지-않는-프로세서에-윈도우11을-설치하는-방법
윈도우11 설치방법 - 윈도우10 환경에서 설치 (미지원 프로세서에서 우회 설치하기)
기다리던 윈도우11 정식버전이 2021.10월에 출시되었습니다. 8세대 미만의 CPU에서는 윈도우11이 설치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저는 윈도우10 ISO파일과 윈도우11 설치미디어를 사용해 6세대 CPU 노트북
stumpsol3.tistory.com
■ PIN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6자리를 임의로 지정합니다
이 PIN번호는 다른 컴퓨터가 이 노트북(win11-test)으로 들어올 때 사용합니다.
'개선에 참여하겠습니다'는 취향에 맞게 고르시면 되겠죠. 저는 체크 해제했습니다.
■ "이 기기" 항목에 win11-test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제 같은 구글 계정을 사용하는 컴퓨터는 여기 win11-test로 원격접속할 수 있습니다.
구글 계정이 다른 컴퓨터(예를 들면, 멀리 사시는 부모님의 컴퓨터)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은
다음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stumpsol3.tistory.com/entry/부모님-컴퓨터를-원격으로-봐-드리는-방법-크롬-원격-데스크톱
부모님 컴퓨터를 원격으로 봐 드리는 방법 (크롬 원격 데스크톱)
조금 멀리 떨어져 사시는 부모님께서 컴퓨터가 잘 안된다고 하소연을 하실 때가 간혹 있습니다. 비교적 간단한 문제(실수로 아이콘 삭제) 등의 문제일 경우가 많지만, 화면 없이 전화(말)로만 확
stumpsol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