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페이스데스크(Spacedesk) 다운로드 및 사용법 - 컴퓨터 및 태블릿을 보조 모니터로 활용

반응형

 

 

별도의 모니터가 없이,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보조 모니터로 활용하게 해 주는

Spacedesk(스페이스데스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스페이스데스크의 장점은

1. 무료입니다. ^^

2. 설치와 설정이 비교적 간단합니다.

 

■ 단점이라면, 간단한 문서작업에는 쓸만하지만 동영상 실행용으로는 좀 버겁습니다.

 

저는 데스크톱 외에 2in1 노트북과 태블릿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장치를 데스크톱의 보조 모니터로 활용해서, 문서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조 화면에 참고할 자료를 띄워놓고, 주 화면에 작업창을 띄워 보조화면을 보며 문서를 작업할 때 편리하네요. ^^

 

1번 디스플레이가 될 장치는 서버(Server),

    2번 디스플레이 장치는 클라이언트(Client)라고 부릅니다.

주의할 점은, 연결할 두 장치는 같은 Wi-fi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즉, 서버는 Net1234에 연결되어 있는데, 클라이언트는 Net1234_5G에 연결되어 있다면

서로 다른 네트워크이므로, 같은 집/직장에 있어도 스페이스데스크 연결이 안 됩니다.

 

이제 다운로드 및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1) 윈도우 환경끼리 연결: 주/보조 컴퓨터 모두 윈도우(Windows) 환경

 

서버(1번 디스플레이)가 될 컴퓨터에서 스페이스데스크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 (spacedesk.net)

https://www.spacedesk.net/

 

spacedesk | Multi Monitor App | Virtual Display Screen | Software Video Wall

The spacedesk Video Wall Software Engine enables convenient and inexpensive setup of display walls using a single PC...

www.spacedesk.net

 

■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약간 아래로 내려가면 오른쪽 화면이 보입니다. 운영체제에 맞게 선택해서 다운로드합니다.

저는 Windows 10 (64-bit)를 선택했습니다.

다운로드 폴더를 쉽게 찾아가도록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https://stumpsol3.tistory.com/14?category=0

 

윈도우10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이나 프로그램이 있는 폴더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에서 카카오톡, 곰플레이어, 크롬 브라우저 등을 설치하려고 하면 웹브라우저에서 다운을 받아주는데, 그 위치는 보통 [내 PC]의 [다운로드] 폴더입니다. (C:\Users\[사용자명]\Downloads) 다운로

stumpsol3.tistory.com

 

■ 2021.8월 현재는 v.1.0.7이 최신 버전이네요.

다운로드한 설치파일(spacedesk_driver_Win_10_64_v107_BETA.exe)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환영 메시지가 뜹니다.

Next(다음)를 누릅니다. 이어서 I accept...를 선택하고 Next(다음)를 누릅니다.

 

■ 설치할 폴더(Destination Folder)를 묻는데 그냥 Next(다음)를 누르고,

이어서 Add...(방화벽(firewall))를 선택한 채 Next(다음)를 누릅니다.

설치(Install)를 클릭하고, 허용하시겠어요? 하고 물으면 를 선택합니다.

설치가 금방 완료되면, Finish(종료)를 선택합니다. 이제 서버(Server)에서의 설치는 끝났습니다.

■ 이제 클라이언트(2번 디스플레이)가 될 컴퓨터에서 Microsoft Store를 들어가서, spacedesk를 검색합니다.

"무료"를 클릭해서 설치하면, spacedesk VIEWER라는 앱이 설치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spacedesk VIEWER 앱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Computer name은 아까 Server 프로그램을 설치한 컴퓨터의 이름입니다.

(서버 컴에서 설정 > 시스템 > 정보 > "디바이스 이름"을 확인하면 됩니다.)

화살표 표시된 Connection을 클릭합니다. 

* 주의: 두 컴퓨터는 반드시 같은 Wifi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 이제 두 화면이 두 컴퓨터에 복제되어 나타납니다.

윈도우10 기준으로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아래쪽)여러 디스플레이 에서 디스플레이 확장을 선택합니다.

저는 서버에 윈도우11을 깔았더니, 윈도우10과는 설정창 화면이 조금 다르네요.

 

윈도우11 설치는 다음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6세대 CPU에서도 정상적으로 윈도우11을 설치했습니다. ^^

 

https://stumpsol3.tistory.com/entry/지원하지-않는-프로세서에-윈도우11을-설치하는-방법 

 

윈도우11 설치방법 - 윈도우10 환경에서 설치 (미지원 프로세서에서 우회 설치하기)

기다리던 윈도우11 정식버전이 2021.10월에 출시되었습니다. 8세대 미만의 CPU에서는 윈도우11이 설치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저는 윈도우10 ISO파일과 윈도우11 설치미디어를 사용해 6세대 CPU 노트북

stumpsol3.tistory.com

 

디스플레이 복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왼쪽은 서버(Display 1), 오른쪽은 클라이언트(Display 2)입니다.

'그림판' 프로그램이 두 화면에 걸쳐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서버(Display 1)가 윈도우, 클라이언트(Display 2)가 태블릿

서버(Display 1)는 삼성 노트북, 클라이언트(Display 2)는 안드로이드 태블릿(갤럭시탭 S4) 환경입니다.

 

■ 서버(윈도우)에서의 설치는 위의 설명과 동일합니다.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Play 스토어에 들어가서 spacedesk를 검색해서 설치 후, 열기를 선택합니다.

 

■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 Connection을 터치합니다.

 

성공적으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

화면을 복제할지, 확장할지의 여부는

서버(윈도우)에서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아래쪽)여러 디스플레이에서 복제/확장 등의 옵션을 선택합니다.

저는 노트북을 왼쪽(Display 1), 태블릿을 오른쪽(Display 2)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메모장에 입력한 글씨가 양쪽 화면에 걸쳐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연결된 상태를 찍어본 사진입니다.

왼쪽이 노트북(윈도우11, Display 1), 오른쪽이 태블릿(안드로이드, Display 2)입니다.

 

이상 무료로 노트북/태블릿 등을 보조 모니터로 활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 Spacedesk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