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드라이브 파티션 크기 변경 방법

반응형

얼마전 '갤럭시 북이랑 한달 살기' 프로그램으로 갤럭시북 프로 360을 구매했습니다.

 

https://stumpsol3.tistory.com/7

 

갤럭시 북 프로 360 개봉기 및 켜보기 (한달살이)

갤럭시 북 360을 구매했습니다. 일단 한달만 써보고 반납하면 전액 환불해주는 "갤럭시 북이랑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신청했어요. 반납하려고 했지만 제품이 너무 마음에 들어, 그냥 쓰고 싶어

stumpsol3.tistory.com

 

용량이 무려 1TB나 됩니다. 그것도 이전의 SSD보다 빠른 NVME SSD!

 

그런데 C드라이브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네요.

이런 경우는 만약 시스템에 장애가 생겨 윈도우를 재설치나 복원을 해야 할 경우,

모든 사용자 데이터가 모두 사라질 것을 각오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C: 윈도우 / D: 데이터 형태로 용량을 분할해서 사용합니다.

또한 자료를 만들고 저장할 때 가급적 C가 아닌 D드라이브에 저장합니다.

그러면 만약 시스템 장애나 바이러스로 인한 문제가 생겨도, 자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지요.

 

예전에는 용량 분할이나 변경을 위해 파티션 분할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고,

시스템을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10에서는 비교적 간단하게 용량을 조정하고,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 용량 확인
    [윈도우 키 + X]를 누른 후 [디스크 관리]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그 위에 커서를 놓고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볼륨 축소'를 누릅니다.
    갤럭시 북 프로 360의 디스크 초기 상태입니다. C드라이브가 935.62GB로 잡혀 있네요.

    볼륨을 축소할 용량을 계산하나 봅니다. 시간은 몇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2.  C, D에 할당할 용량 확보
    입력창이 뜨면, '축소 전 전체 크기'의 값을 보고 적당히 계산해서 '축소할 공간 입력'에 값을 입력했습니다.
    (958,073 - 808,073 = 150,000)
    결과적으로 축소 후 C드라이브의 크기가 150GB가 되도록 했습니다. 나머지는 D로 할당할 예정입니다.

    [축소(S)]를 누르니 할당되지 않은 공간 789.13GB가 생겼고, C드라이브는 146.48GB가 할당되었습니다.


  3. D 드라이브 할당
    할당되지 않은 공간 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새 단순 볼륨'을 클릭합니다.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다음'을 누릅니다.
    공간을 얼마나 할당할지 물어봅니다. 넣을 수 있는 최대값을 넣어줍니다. 
    D드라이브로 할당해 주고, '다음'을 누릅니다.
    볼륨 레이블은 'Data'라고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건 개인 취향에 맞게 정하면 되겠네요.


  4. 완료
    완료가 되었습니다. '마침'을 눌러주면 끝입니다.


  5. 확인
    아까 보았던 '디스크 관리'에서 보니 D드라이브는 'Data'라는 이름으로 789.13GB가 할당되었습니다.


저는 C드라이브의 이름도 변경해 주려 합니다. C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속성'을 누릅니다.

 

C 드라이브의 이름을 저는 Windows 라고 정해주었습니다. 이것도 개인 취향에 맞게... 여튼 '확인'을 누릅니다.

 

이제

C 드라이브는 146GB

D 드라이브는 789GB

이렇게 할당이 되었습니다.

 

C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습관을 잘 들이면

C의 용량은 100GB 정도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워낙 갤럭시북 프로 360의 용량이 풍족하다보니

이번에는 여유있게 C를 150GB 정도로 잡아 보았습니다.

사용자 데이터 공간으로 800GB 가까운 용량이면 정말 넉넉하네요. 영화랑 음악을 한참 넣어도 남겠습니다. ^^

 

이 외에도, D 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고 다시 C 드라이브와 합쳐 C의 크기를 늘리고자 한다면,

D를 우클릭해 '볼륨 삭제'를 해서 할당되지 않는 공간을 만들어준 후

C를 우클릭해 '볼륨 확장'으로 C를 늘려줄 수 있습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파티션)를 용도에 맞게 D, E, F 등으로 더 나눌 수도 있지요.

(물론 관리의 불편함 등의 이유로, 작게 여러 드라이브를 많이 만드는 것은 권장사항은 아니겠지만요)

 

이렇게 파티션을 C, D로 따로 분할해 두면

초기화를 하거나, 바이러스 문제 또는 윈도우 장애로 O/S 재설치를 하더라도

사용자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저는 반드시 C, D드라이브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https://stumpsol3.tistory.com/13

 

갤럭시북 360 프로 초기화하는 방법

얼마전 구매한 갤럭시북 프로 360에 이것저것 설정을 했다가 마음에 안들어서 다시 깔끔하게 초기화하고 세팅을 다시 바꾸는 작업을 반복했습니다. 전에는 초기화에 많은 시간(한두시간은 기본,

stumpsol3.tistory.com

 

반응형